이력
- 에듀콜라 집필진
- 교육블로그(훈훈쌤과 함께하는 역사여행, https://blog.naver.com/hwooon)운영
평소 월급쟁이부자들이란 유튜브를 자주 본다. 정말 유명하고 인사이트가 높으신 분들이 많이 오셔서 부동산 현황이나 세금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해서 말씀해주신다. 느낌이 빠숑의 세상답사기나 신사임당 유튜브 채널과 비슷한 느낌이다. 이렇게 쓰면서 느끼는 것이 아~ 여기 부동산 강사나 유명하신 분들 사이에서도 누구누구 사단 처럼 친한 분들끼리 모여서 활동하는 구나 싶다. 빠숑님은 아임해피, 월천대사, 부룡님을 중심으로 활동하시고 월급쟁이 부자들채널에서 너바나님을 중심으로 너나위님이 모여서 활동하는 것 같다. 그리고 뭐 다른 유명 강사분들은
<간이지도안> 과정1 : 정조와 정약용 인물 비교분석하기 핵심성취기준을 반영하여 정조와 정약용에 알아본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과제로 정조와 정약용에 대해 미리 조사한다. 본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교과서와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정조, 정약용 두 인물을 CDI토의·토론을 통해 비교·분석한다.
<간이 지도안> 과정1 : 병자호란 당시 상황 알아보기 학생들은 광해군은 영화나 다른 영상 매체를 통해 친숙하지만, 인조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학생들이 많았다. 따라서 병자호란, 광해군, 인조와 관련된 디딤 영상과 교과서를 통해 예습을 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묻고 싶은 질문을 포스트 잇에 적는다. 역사를 좋아하고 잘 아는 학생을 앞에 앉고, 당시의 광해군이나 인조가 되어(핫시팅 수업방법) 학생들의 질문에 답한다. <광해군과 인조에게 묻고 싶은 질문> <광해군이 되어 핫시팅 활동하기> 과정
<간이지도안> 과정1 : 전시장 만들기 교사는 학급 모둠의 숫자에 맞는 서민문화 주제를 정한다. 우리 반 모둠은 총 6 모둠으로 되어 있으며, 교과서와 지도서를 참고하여 6개의 주제 (풍속화, 민화, 한글소설, 탈춤, 청화백자)를 정한다. 학생들은 6개의 주제 중에서 한 개의 주제를 선정하여 조사 후 본 수업 시간에는 보고서를 작성한다. 이때 보고서 작성 전에 미리 학생들의 역할을 나누고 교사가 확인을 하면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보고서 작성하는 모습> <완성된 보고서 결과물> 과정
<간이지도안> 과정1 : 역할놀이하기 조선시대 여성의 삶이 어려웠다는 것을 대표하는 단어가 삼종지도와 칠거지악이다. 이 단어의 내용을 역할놀이 활동 전 핵심판서로 정리하고 설명한다. 그리고 삼종지도와 칠거지악 내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에게 역할놀이로 표현하게 한다. 역할놀이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이를 통해 당시 여성들이 느꼈을 억울함이나 어려웠던 점, 그리고 현재와 비교해보는 등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를 하면 더 심화된 생각이나 의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역할놀이 발표 전 연습하는 모습> <역
<간이 지도안> 과정1: 임진왜란이 일어난 배경 알아보기 교과서와 디딤 영상, 학생들이 가져온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임진왜란이 일어난 배경을 명, 일본, 조선의 입장으로 나눠 모둠의견 만들기 토의·토론을 한다. 토의·토론 이후 나온 결과를 모둠칠판에 정리한다. 정리할 때 비쥬얼씽킹을 통해 정리하면 학생들의 이해도와 메타인지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모둠의견 만들기 토의·토론 하는 모습> <임진왜란 배경에 대한 토의·토론 후 결과물> 과정2: 선조의 행동을 PMI토의·토론으로 알아보기 ‘한양을 버
<간이 지도안> 과정1: 전시장 만들기 수업자의 반은 6모둠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둠 수에 맞게 교사는 교과서를 참고하여 조선의 문화와 과학 기술과 관련된 주제 6개 (훈민정음, 천체 관측기구, 해시계, 물시계, 측우기, 농사직설)를 미리 선정했다. 모둠 별로 주제를 선정하고 디딤영상, 관련 자료, 교과서를 참고하여 주제와 관련된 사진과 내용을 수업 시간에 준비해온다. 실제 수업시간에는 조사해온 자료를 활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전시장(보고서) 만들기> <보고서 결과물> 과정2: 전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