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
-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 전문상담교사 1급
- 서울시교육청 신규전문상담교사 연수강사
- 서울시교육청 학생심리정서 자료 제작위원
- Wee클래스 컨설팅 자문위원

-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 전문상담교사 1급
- 서울시교육청 신규전문상담교사 연수강사
- 서울시교육청 학생심리정서 자료 제작위원
- Wee클래스 컨설팅 자문위원
지난 1탄에서는 미루는 사람의 심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http://samstory.coolschool.co.kr/zone/story/listener/streams/81127 오늘은 이를 바탕으로 미루는 습관을 고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아이들과 나를 위해 고쳐야 하는 미루는 습관!! 어떻게 하면 고칠 수 있을까요? 1. 목표를 잘게 쪼개기지난 글에서 할일을 미루는 이유가 바로 성취의 기쁨보다 < 과정의 고통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말한 것 기억하시죠? 그렇다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과정의 고통보다 <
안녕하세요, 2020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모두들 새해 계획은 세워보셨나요? 저는 올해부터 1년 프로젝트로 <교사의 열두달 감정>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매달 학교에서 진행되는 행사, 수업과정과 아이들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교사가 느끼는 감정들을 소개해보는것도 재미있을 것 같아서요. 그런 감정들과 더불어 나의 감정과 친해지는 방법, 도움이 되는 책이나 영화 등을 추천하는 것도 재미있겠죠?^^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교사의 열두달 감정] 1월은 "홀가분" 2020년 새해가 밝았는데도 아직 새해를 만끽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
"선생님, 저도 정말로 지쳤어요. 이제는 너무나 힘들어서 예전처럼 아이들을 잘 대해줄 수가 없을 것 같아요. 그런데 있잖아요.. 지친 나는 누가 위로해주죠?" *아래의 글은 티쳐빌 직무연수 <상담쌤과 알아보는 우리학급 동상이몽>을 바탕으로 각색한 내용입니다. Q: 선생님, 번아웃증후군이 무엇인가요? A: 우리가 일반적으로 하얗게 불태웠다는 말을 쓰잖아요. 그런 것처럼 평소 불타오르듯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내가 모든 것을 다 쏟아 붓고 신체적, 정신적 피로도가 쌓여서 지치고 무기력증이 찾아오는 것을 번아웃 증후군의 특징이라고
아이들이 편가르기가 심하더니 서로 비난하고 툭툭 치는 행동이 늘어났어요. 서로 학교폭력으로 신고한다는 상황이에요. 저는 중간에서 아이들의 행동을 중재하려고 하는데 아이들은 선생님이 누구 편을 들어주고 있다고 생각해요. 아이들은 이게 다 제가 학생B 편을 들어줘서 B가 저를 믿고 친구들을 때리기도 하는 거라고 생각하죠. 이럴 때 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많이 힘드셨겠어요, 선생님 반에서 아이들이 싸우고 편까지 가르면 이전부터 계속 누적되어 온 내용 같은데, 선생님이 그동안 노력하시느라 애 많이 쓰셨겠어요. 많이 힘드셨겠네요 선
안녕하세요, 학부모 상담주간을 위한 시리즈의 마지막 편입니다. <1> 2학기 학부모 상담, 과연 무엇이 다를까? http://samstory.coolschool.co.kr/zone/story/listener/streams/54073 <2>학부모 상담 때 주의해야 할 '이것'은 무엇일까요? http://samstory.coolschool.co.kr/zone/story/listener/streams/54097 <3>학부모 상담을 위한 상담쌤의 꿀팁 이전내용에서 우리는 2학기 상담주간의 차이점, 그리고 이로 인해 교사가 주의
안녕하세요, 지난 편에는 2학기 학부모 상담이 1학기와 어떤 점이 다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1편 ) 2학기 학부모 상담, 과연 무엇이 다를까? http://samstory.coolschool.co.kr/zone/story/listener/streams/54073 아이들과 1학기를 보냈기 때문에 2학기 상담은 1학기 상담보다 분명 수월한 점들이 있는데요, 하지만 때로는 오히려 2학기 학부모 상담이 더 어렵다고 생각하시는 선생님들도 계십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상담쌤 따뜻한 리스너입니다. 이제 날이 점점 추워지고, 첫눈도 온것을 보니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는 것 같아요. 작년처럼 마음껏 크리스마스를 즐길 수는 없을 것 같아 속상하지만, 그래도 수업활동에서만큼은 크리스마스를 즐겨보는게 어떨까요? 오늘 준비한 활동은 크리스마스에 아이들과 즐겁게 활동하면서 아이들의 소망을 탐색해볼 수 있는 자료로 구성해보았습니다. 물론 온/오프라인 모두 활용 가능합니다! <어느날, 산타할아버지가 선물을 고르라고 한다면?> 물론 이런 질문을 했을 때, 아이들은 '에이~ 선생님~ 산타할아버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