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
- 초등학교 교사
- 그림책 글작가
- 좋아서하는 그림책 연구회 운영진

- 초등학교 교사
- 그림책 글작가
- 좋아서하는 그림책 연구회 운영진
내 안의 진짜 아름다움을 찾아서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는 거야. 태양은 구름 속에서도 빛나고 있어. 진정한 나만의 아름다움을 찾게 도와주는 신비한 안경점으로 초대합니다. 거울을 볼때마다 얼굴의 미운 부분만 크게 보이나요? 누구도 모르는 단점에 신경 쓰느라 장점을 볼 새가 없다고요? 그렇다면, 여기 마음안경점에 방문해 보세요. 내 안의 진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선을 선물합니다. 나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하는 마음의 안경을 찾아서. 줄거리 거울을 볼 때마다 짝짝이 입술이 신경 쓰이는 미나. 안경을 벗으면 거울
내 안의 진짜 아름다움을 찾아서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는 거야. 태양은 구름 속에서도 빛나고 있어." 진정한 나만의 아름다움을 찾게 도와주는 신비한 안경점으로 초대합니다. 자신의 결점을 돋보기로 들여다보고 있다면? 거울을 볼 때마다 얼굴의 미운 부분만 크게 보인다면? 아무도 모르는 단점에 신경 쓰느라 장점을 볼 새가 없다면? 나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하는 마음의 안경을 찾아서.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아이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초등교사 조시온 작가의 글과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 선정 일러스트레이터 이소영 작가의 경쾌하고
"창작으로 성장하는 교실" 프로젝트로 꿈꾸는 아이들과 함께 <이런 친구 좋아!>라는 시그림책을 만들었습니다. 이 그림책은 "6학년 국어교과서 1단원 비유하는 표현"에 나오는 정완영의 시, <풀잎과 바람>을 바꿔쓰기 하여 만들어진 시그림책입니다. 풀잎과 바람 정완영 나는 풀잎이 좋아, 풀잎 같은 친구 좋아 바람하고 엉켰다가 풀 줄 아는 풀잎처럼 헤질 때 또 만나자고 손 흔드는 친구 좋아. 나는 바람이 좋아, 바람 같은 친구 좋아 풀잎하고 헤졌다가 되찾아 온 바람
빨간 망토를 쓴 아이가 파란 탁구채를 들고 서 있다. 날아오는 공을 ‘핑’하고 칠 것인가, 놓칠 것인가, 아니면 거침없는 스매싱을 날릴 것인가 궁금해하며 그림책 『핑!』(아니 카스티요 지음)의 표지를 넘겼다. 내 예상은 빗나갔다. 상대와 마음을 주고받는 법을 탁구 게임에 빗대어 철학적으로 풀어내다니! 첫 문장을 읽자마자 진한 사골국을 마시듯 작은 탄성이 새어 나왔다. “여러분, 이 세상에서 우리는 ‘핑’만 할 수 있어요. ‘퐁’은 친구의 몫이에요.” 이 문장이 내 몸무게의 무게만큼 마음에 쿵 내려앉았다. 내 생각과 마음을 전하기 위
* '문장으로 여는 아침' 활동 방법 (1) '하루 한줄 발견' 소개하기 (2) 노트에 문장 필사하기 (3) 떠오르는 질문이나 생각거리를 채팅창에 적기(ZOOM) (4) 학생들의 질문을 바탕으로 서로의 의견 나누기 * 문장을 통해 나온 학생들의 질문! - 싸운 뒤 말 거는 사람이 지는 사람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상대방이 말을 하기 싫을 수도 있잖아요. - 싸웠을 때 상대방이 먼저 말을 건다면 여러분은 어떤가요? - 싸운 뒤에 먼저 말을 걸어 본 적이 있나요? - 싸우는 와중에 말을 걸면 어떻게 될까요? - 싸움이 끝난 뒤에
매일 아침 학생들과 함께 '문장으로 여는 아침'을 시작했습니다. 나누고 싶은 문장을 학생들에게 아침마다 소개하고, 이 문장에 대해 학생들과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에요. 매일 같이 하다보면 '생각하는 훈련'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6학년 학생들이 생각하는 것을 많이 귀찮아하더라고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낼 수 있을까 고민한 끝에 나온 방법입니다.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한 문장씩 나누는 것은 매일 실천할 수 있을 것 같아 부담이 없기도 하고요. *'문장으로 여는 아침' 활동 방법 (1) '하루 한줄
분노 그림책 <앵거게임>(조시온 글, 임미란 그림)을 읽고 독후활동으로 패러디 그림책을 만들었습니다. 학생들이 일상 속에서 분노를 터트리는 지점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있는데요. 더불어 어떻게 하면 분노를 잘 표현할 수 있는지도 엿볼 수 있습니다. https://bit.ly/3r2owSp * 앵거게임 패러디 그림책 만드는 방법 1. 『앵거게임』(조시온 글, 임미란 그림)을 읽고 <앵거다이어리>를 작성한다. 2. <앵거게임 2탄>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출력한다. 3. <앵거다이어리>에 쓴 내용을 활용하여 <앵거게임 2탄>
2018년부터 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는데요. "창작으로 성장하는 교실" 프로젝트예요. 학생들의 창작물을 학급문집 한 권으로 엮어 독립출판을 해주고 있는데요. 올해가 세 번째입니다. 2018년에는 학생들의 <1인 1그림책>을 모두 <그림책에 내 마음에>에 담았습니다. 2019년에는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동창작의 방식으로 <문제가 생겼어요>(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저) 패러디 그림책을 두 권 만들었는데요. 2020년은 코로나 19로 원격수업이 더 많았던 해였기 때문에, 줌(온라인 화상 플랫폼)을 통해 학생들과 함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