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
- 2017 유ㆍ초등 교원 바둑교육 직무연수 강사(한국교총종합교육연수원)
- 제45회 전국소년체전 바둑 세종 초등부 감독
- 세종 미르초등학교 교사

- 2017 유ㆍ초등 교원 바둑교육 직무연수 강사(한국교총종합교육연수원)
- 제45회 전국소년체전 바둑 세종 초등부 감독
- 세종 미르초등학교 교사
학교에서 아이들의 모습을 관찰할 때면, 때론 칭찬보다 비판이 앞서고 자존감보다 자책감이 앞설 때가 많습니다. 그런 모습을 볼 때마다 서로 칭찬하고 격려하는 학급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그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많은 교육적 시도를 하게 되는데, 학급특색교육과 초등 2학년 국어과교육과정를 연계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예로 들면, 2015 개정교육과정 초등 1~2학년 국어과 성취기준인 [쓰기] 2국 03-03 : 주변의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짧은 들을 쓴다. [듣기•말하기] 2국 01-06 : 바르고
학교에서 아이들을 대하다보면 씩씩하고 활발한 아이, 장난기 넘치고 잘 웃는 아이, 그리고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친화력있게 대하는 아이들과 같이, 밝은 표정의 수많은 아이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그 아이들 속에서 유독 잘 눈에 띄지 않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바로 자존감이 낮고 자신감이 부족한, 그래서 조용해 보이는 아이들이죠. 자존감과 자신감이 부족한 아이들의 경우, 가정에서나 학교에서 격려와 칭찬의 피드백을 잘 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교과수업 시간에 발표를 두려워하고 망설이는 아이, 친구들과의 놀이에서 자신있게 참여하지 못
집중력과 사고력, 그리고 정서적 안정화 등 많은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바둑교육,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까요? 내가 바둑을 모르는데 어떻게 할 수 있겠냐고요? ^^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실, 다른 놀이교육과 마찬가지로, 기본규칙을 숙지하는 것으로부터 바둑교육을 충분히 시작할 수 있습니다. 바둑교육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교육목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① 바둑 그 자체로서의 소양교육 ② 바둑을 활용한 교과교육 이 중, 두 번째의 '바둑을 활용한 교과교육'은 학교 속 바둑교육에서 지향하는 교육목표입니다. 마인드스포츠